17 6월 수사물 영상 번역 최대의 난제 ‘경찰 계급’
영상번역을 하다 보면 수사물, 법정물이나 각종 스릴러물에서 경찰 케릭터를 많이 보게 됩니다. 현재 우리 나라에서 방영하고 있는 미드 중 50%이상이 수사물이라는 거 알고 계셨나요? 대충 생각나는 것만 말해도 로앤오더:오리지널, 로앤오더:SVU, 로앤오더:크리미널인텐드, 크리미널마인드, 고스트앤크라임, 본즈, 디스트릭트, 몽크, 쉴드, 24, CIA, 덱스터 등등 셀 수 없이 많습니다. 이런 작품들을 작업할 때 번역 작가들이 가장 곤혹스러워하는 건 다름 아닌 경찰관들의 계급입니다. 각 주마다 사법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배경이 ‘뉴욕이냐 마이애미냐 LA냐’같은 문제도 있고 우리 나라와 기관이나 직책이 다르기 때문에 명칭 선정도 굉장히 까다롭습니다. 저도 할 때마다 애를 먹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. 그래서 오늘은 수사물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뉴욕 경찰의 직책에 대해 써 보려고 합니다. 아래 자료는 전에 제가 정리해 놨던 자료입니다. 저도 뉴욕에 살았던 경험은 없기 때문에 윗 내용 중에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 혹시 보시다가 틀린 내용이 발견되면 가차없이 댓글을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.
Police Officer
(Note: The title “Patrolman” was phased out in the early 1970s)
Patrolman이라는 말을 아직도 쓰긴 하는데
내용 상 꼭 써야할 일이 아니면 ‘순찰 경관’이라는 말은 거의 쓰지 않죠.
그냥 ‘경관’이 젤 좋은 것 같습니다;;
Detective (Note: considered to be the same rank as a Police Officer)
다 아시는 ‘형사’죠.
순찰 경관(울 나라 용어로는 ‘순경’이죠;;)으로 3년 이상을 근무하고
형사 시험 자격을 확보한 후 시험에 패스하면 되는 직위입니다.
우리 나라의 경우를 본다면
경관들과 아주 친하고 고참격으로 보인다면 ‘선배’라는 호칭도 괜찮습니다.
나이가 젊은 형사들은 경관들에게 존대 사용을 하는 게 대부분입니다.
Sergeant (symbol of rank: 3 chevrons)
‘경사’입니다. 보통 일선에서 직접 수사를 담당하는 고참 형사인 경우가 많습니다.
Lieutenant (symbol of rank: 1 gold bar)
경위급이며 실무자(내사과 등등)인 경우가 많습니다.
어떤 부서에 있는지 알면 직명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죠.
Captain (symbol of rank: 2 gold bars)
경감이나 경정급입니다.
보통 수사 드라마에서는 ‘반장’이죠.
이런 저런 부서의 ‘과장’직위를 맡기도 합니다.
Deputy Inspector (symbol of rank: gold oak leaf)
경정급, 규모가 크지 않은 경찰서의 서장.
규모가 큰 경찰서에서는 계장 임무를 맡기도 합니다.
Inspector (symbol of rank: gold eagle)
총경급, 보통 말하는 경찰서장입니다.
Deputy Chief (symbol of rank: 1 gold star)
경무관급, 지방청의 부청장
Assistant Chief (symbol of rank: 2 gold stars)
경무관에서 치안감급, 지방청의 청장급
대부분의 드라마에서는 지방청 단위를 소제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
‘청장’이라고 하시면 됩니다. 뉴욕 지청은 총 8곳입니다.
Bureau Chief (symbol of rank: 3 gold stars)
경찰 본부국의 책임자, 본부국장.
국장인데 청장보다 높은 직책이고
본부에서 업무를 기준으로 나눈 직책입니다.
아무튼 8~9명 정도 됩니다.
(the Chief of Patrol, the Chief of Housing, Chief of Internal Affairs)등등.
가장 하위 구조인 precinct는 Patrol Borough에 속해 있습니다.
Chief of Department (symbol of rank: 4 gold stars)
치안총감
군대로 치면 짬밥 가득한 ‘주임원사’와 비슷한 뉘앙스의 직위입니다.
주임원사보다는 파워가 막강하죠.
제복 경관으로 올라갈 수 있는 최고위직입니다.
시장 임명과 관계 없이 직위를 지킬 수 있기 때문에
윗선의 지시에 반박하거나 고집을 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
Patrol Services, Detective, Transit, Organized Crime Control, Transportation, Housing
위키를 찾아보니 상기 업무와 관련된 보고를 치안총감이 받는군요.
police commissioner
이 직책이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‘경찰청장’에 가장 적합한 직위입니다.
8개 지방청 꼭대기의 Headquarter를 책임지는 뉴욕 경찰의 최고 책임자입니다.
내사과에서는 police commissioner에게 직접 보고를 하기 때문에
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습니다. 깡이 하늘을 찌르죠.
이 직책은 시장이 직접 임명하기 때문에 민간인이 임명될 수도 있습니다.
능력이 있으면 누구든 쓰겠다는 얘기죠.
일선의 경찰들은 Chief of Department를 더 존경하고 따르는 편입니다.
시장 선거 시즌마다 목이 댕강 잘리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
굉장히 정치색이 강한 경향이 있으며
어지간한 깡 없이는 거의 Yes man입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수사 드라마는 뉴욕을 다루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.
LA를 다루는 경우도 있어서 혼선을 겪기도 하는데
큰 줄기는 그리 다르지 않습니다.
Assistant Chief도 청장, police commissioner도 청장입니다만
Assistant Chief도 자기를 소개할 때 Assistant Chief라고 말하지는 않죠.
대개 Chief라고 말을 합니다.
(누가 자기 직함에 Assistant라는 말까지 붙이고 싶겠어요 ㅎㅎㅎ)
Assistant Chief인지, police commissioner는 내용으로 판단하셔야 합니다.
그리고 police commissioner 밑에도 First Deputy Commissioner가 한 명,
Deputy Commissioner(참모진이죠)가 여러 명 있습니다.
제가 알기로 뉴욕에는 지방경찰청이 8곳 있고
경찰서(관할서)가 70여곳 있습니다.
드라마에서 경찰을 다루는 경우는
하나의 관할서나 지방청을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
직위는 때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하세요.
형사들이나 경관들도 정해진 대로 말을 쓰는 게 아니기 때문에
반장에게 Chief라는 말을 쓸 때도 있습니다.
경찰 드라마를 하시는 경우에는 http://en.wikipedia.org/wiki/Nypd 를
꼼꼼히 한 번 읽어 보시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겁니다.